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경제

트럼프 관세 정책, 정말 미국을 위한 선택이었을까?

by 하와이대부호 2025. 2. 28.
반응형

"Made in America!"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기 집권 당시 외친 구호입니다.

그는 미국 제조업을 되살리고, 무역 적자를 줄이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관세 정책을 강력하게 밀어 붙였습니다. 그러나, 과연 이 전략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만들었을까요? 아니면 미국 소비자와 기업들에게 부담을 준 자충수 였을까요?

한번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다른 시각에서 풀어보겠습니다.


미국의 관세전쟁(사진=하와이대부호)

"관세 전쟁" 이라는 게임, 승자는 누구일까?

트럼프가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관세 정책은 마치 "경제 전쟁" 같았습니다.
그는 미국산 제품을 보호하고, 해외 기업들이 미국으로 공장을 옮기게 만들기 위해 고율 관세를 도입했습니다.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 했는데요. 최대 25%에 달합니다. 또한, 철강 ·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도 부과하면서 EU, 캐나다, 한국도 포함 시켜 주변 동맹국들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결국은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 및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도 검토 대상으로 확대되었죠.

그러나, 이 게임에서 승자는 누구일까요?

미국은 일부 기업들 (철강 · 알루미늄 등)의 수익이 증가 했습니다. 또한, 공급망 다변화로 중국 견제에 어느정도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수입제품 가격 상승 으로 인한 소비자 부담은 증가 되었죠. 그리고 미국 농민의 피해가 우려되는 중국의 보복관세로 수출이 감소 되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의 붕괴로 인한 기업들의 생산비는 점차 증가 하였습니다.
트럼프는 "이 게임에서 미국은 승리한다" 라고 했지만, 현실에서는 서로에게 큰 상처만 남기게 되는 전쟁이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 정말 중국을 압박했을까?

트럼프가 가장 강하게 밀어붙인 것은 중국 견제 였습니다. 

"중국은 미국을 속여 왔다!"
"미국의 기술을 훔쳐가고,무역 흑자를 챙기고 있다!"


그렇다면 중국이 정말 타격을 받았을까요?

중국은 실질적으로 미국에 대한 수출감소로 GDP성장이 둔화 되었습니다. 또한, 대 중국 투자 해외 기업들의 중국 현지법인 철수가 이루어 지고 있죠. 하지만, 미국의 경제제재 뿐만아니라 중국의 자국중심의 기업정책 변화도 중국철수를 결정 하게 된 또 다른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 사이 중국을 대체할 새로운 생산기지로 베트남, 인도 등이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가만히 앉아서 당하고만 있을 중국이 아닙니다. 중국은 즉각 미국 농산물 ·자동차에 대한 보복관세를 부여했고, 반도체 AI분야에서의 자체 기술 개발을 속도화 했습니다. 결국, 중국은 미국 의존도를 줄이면서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 강화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볼때, 미국은 중국을 압박하려 했지만, 오히려 중국의 내수경제 자립을 촉진하는 계기가 된 셈입니다. 트럼프는 중국을 고립 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오히려 "Plan B"를 가동하여 독립적인 경제 체제를 만들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진짜 미국을 위한 정책이었을까?

트럼프는 "미국 노동자를 보호하겠다" 며 강력한 보호무역 정책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정책이 미국기업과 소비자들에게 더 큰 부담이 되었습니다. 미국 기업들은 더 비싼 원자재를 써야 했고, 제품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자동차, 전자제품, 가전 등 대부분의 소비제품 가격이 상승 하였습니다. 관세 정책으로 인해 피해를 본 것은 오히려 미국 시민들 이었습니다. 트럼프는 "중국이 관세를 낸다" 라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미국기업과 소비자가  비용을 부담하고 있는 상황 입니다.


미중무역전쟁(그림=하와이대부호)


그렇다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실패한 것일까? 

현재까지의 상황에서는 성공과 실패가 공존하고 있다고 할수 있습니다. 미 ·중 무역전쟁으로 미국 내 소비자 가격 상승을 초래 하였으며, 미국 농민과 일부 산업의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관세 정책의 긍정적 효과도 발견 할 수 있었는데요. 미국의 입장에서 가장 큰 중국에 대한 견제 효과 즉, 일부산업의 탈 중국화에 시작을 알렸죠. 결국 미국 제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되었고, 자국 이익 우선주의가 더 설득력을 얻게 되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큰 혼란을 초래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세계 경제 질서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트럼프에서 시작된 관세 정책은 바이든을 거쳐 다시 제2기 트럼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의 일부 관세를 유지하면서, 동맹국과 협력을 통한 새로운 무역 전략을 구사 하였으나, 생각보다 중국의 거센 저항을 막기에는 어려워 보였습니다. 하지만, 제2기 트럼프는 더욱 강력한 관세 정책을 중국을 포함한 기존의 동맹국까지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결론: "트럼프의 관세 정책 시즌2" 가 시작된다!

트럼프의 집권 1기부터 이어온 관세 정책은 미국 경제를 보호하려는 의도로 시작 되었지만, 오히려 미국 소비자와 기업들 에게도 타격을 주었죠.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를 거쳐 다시 트럼프 집권 2기가 시작되면서 기존의 관세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미 글로벌 경제는 트럼프의 기존 관세 정책에 학습한 효과를 바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단순한 관세 정책으로는 미국 경제를 완전히 보호할 수 없다는 점도 분명해 졌습니다.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명과 암이 공존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미·중 갈등은 장기화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선 패권 경쟁이기 때문 입니다. 최근들어 기술 ·군사 ·경제 ·이념적 차이로 인해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글로벌 공급망, 금융시장, 지정학적 위험 등,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의 세계 무역전쟁에서는 선과 악으로 나누는 이분법이 아닌 , 자국이익 우선주의가 더 큰 기준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우리 또한, 그에 맞는 투자 전략을 구사해야 합니다.



#투자포인트:미국 관세 전쟁 수혜주 BEST3


뉴코(Nucor Corporation, 티커: NUE)

미국 최대의 철강 생산업체로, 수입 철강에 대한 관세 부과로 미국내 철강 수요와 가격이 상승할 경우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수 있습니다.

카맥스(CarMax, 티커: KMX)
철강 가격 상승으로 신차 가격이 오를 경우, 소비자들이 중고차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미국 최대 중고차 딜러인 카맥스는 수요 증가로 인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센추리 알루미늄(Century Aluminum, 티커: CENX)
미국의 주요 알루미늄 생산업체로, 수입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 시 미국내 알루미늄 생산업체들의 경쟁력이 강화되어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투자 및 경제 전략 에서도 미 · 중 갈등을 고려해야 하는 시대임은 확실합니다.



 

미국 주식 시장 2025년 강세장일까? 약세장일까?

미국 주식 시장, 2025년 강세장 일까? 약세장 일까?

"2025년 미국 증시 전망! 경제 트랜드와 투자 전략"미국 주식 시장은 2024년을 거치며 인플레이션, 금리 정책, AI 산업 성장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았습니다.이제 2025년에는 강세장이 올지, 약

tommy01.tistory.com

 
 

 
Copyright © 하와이대부호.
 
 

반응형